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

토지 투자 전 공부, 용도지역이란? 토지를 공부하다보면, 토지의 용도만큼 중요한게 없다. 사실 토지의 용도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당연하겠지. 그래서 대부분의 토지 서적을 보면 토지의 용도를 잘 분석해야 한다던가, 용도 변경이라던가 하는 가르침(?)이 많다. 그런데 나는 아주 기본지식도 없을 뿐더러, 대부분의 기초를 이해하고 공부하는걸 좋아해서 이번 포스팅을 하며 토지의 용도지역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세금이나, 토지 등을 공부하다보면 어떤 생각이 드냐. 바로 잘 만들어진 심씨티 같다는 것 서울도시계획포털에서 토지의 용도지역에 대해 검색해보면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서로 중복되지 않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2023. 1. 31.
군인연금, 원천징수 소득세와 연말정산 군인연금 수령 시 소득세와 연말정산은 어떻게 될까? 재테크 책을 읽다보면 늘 나오는 단어 하나가 있다. 바로 '절세' 사실 이때까지는 절세란 부자들이 해야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세금에 대한 생각은 안하고 살았었다. 뭣도 모르고 연말정산 때 돌려받으면 좋은거~ 아니면 안좋은거~ 이렇게만 생각했었지 그런데 군인연금을 알아보다보니, 세상에 기껏 열심히 연금 계산을 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부분이 세금으로 나가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긴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연금만큼은 아니라고 생각했던 걸까? 말이 나온김에 군인연금의 세금에 대해서 공부해볼 겸 이 글을 적어본다. 1. 소득세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자가 직접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 의무자가 소득자로부터 미리.. 2023. 1. 26.
군인재정관리단, 국방통합급여포털에서 군인연금 정보 얻기 이전 포스팅 말미에도 적었지만, 본인의 군인연금을 계산하기 위해 기준소득월액과 향후 연금액을 계산해보는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은 국방급여복지포털을 이용해보는 것이다. 사실 군인연금 홈페이지에 군인연금 모의계산이 없길래 의아했었는데, 역시나 국방급여복지포털에 가면 모든걸 할 수 있었다...! 나는 그걸 몰랐지..ㅠㅠ 그러다 이번에 연금 정리를 하며, 임관 후 냈던 모든 기여금을 알고싶어졌고 남편에게 급여명세서를 출력해와달라고 했던 것이 계기. 남편이 인트라넷에 들어갔다가 퇴직수당과 연금도 모두 계산해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ㅎㅎ 그래도 이렇게 연금에 대해 공부하지 않았다면, 국방통합급여포털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도 몰랐을 것이다. 1. 기준소득월액 국방급여복지보털에 들어가면 군인기준소득내역조회를 .. 2023. 1. 25.
내가 받을 군인연금 계산해보기 2 이전 글에 이어 써보는 내가 받을 군인연금 계산해보기 두번째 포스팅 군인연금 계산법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군인연금 기준소득월액을 구할 때 과세기준을 토대로 하는 법을 적었었다. 그런데 뭔가 명쾌하지 않은 기분이였다. 그래서 생각하다보니 세상에 더 쉬운 방법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군인연금을 받기 위해서 모든 군인은 기여금이라는 것을 낸다. 군인연금법에 보면 기여금은 기준소득월액의 7%라고 적혀있다. 매달 급여명세서를 보면 공제항목에 일반기여금 항목이 있다. 그러니까 여기에 적힌 일반기여금은 나의 기준소득월액의 7%이기 때문에 역으로 계산해보면 나의 기준소득월액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기준소득월액은 매달 바뀌는게 아니라 매월 5월에 바뀌기 때문에, 당해 5월 ~ 내년 4월이 늘 같은 금액이다. 고로 당해 5월.. 2023. 1. 24.
내가 받을 군인연금 대략적으로 계산해보기 2023년 새해가 밝았다. 늘 그렇듯이 새해가 밝으면 다짐하게 되는 것들이 있다. 바로 가계부 쓰기. 그런데 올해는 가계부와 더불어 궁금해지는 것이 생겼다. "바로 우리 부부의 노후" 사실 노후는 이제 겨우 만 30대가 된 우리의 주된 관심사는 아니었다. 그런데 요새 회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니, 정년퇴직 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노후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우리 아빠도 은퇴 후 무엇을 하고 살지 고민을 많이 하셨더랬지. 자연스럽게 우리의 노후는 어떨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결혼 전 직장생활을 할 때, 높으신 분들께서는 늘 체계적으로 노후 대비를 하셨었다. 한달에 한두 번씩은 사내 퇴직연금 담당자와 미팅을 하며 수익 구조도 변경하시고, 좋은 상품이 나오면 적극적으로 .. 2023. 1. 24.
기록은 기억을 이긴다 내 남편은 군인이다. 처음 소개받을 때 부터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이 엿보였었다. 반면 나는 뼈 속 까지 자본주의 그 자체의 삶을 살아온 사람. 돈 버는 것도 좋아하고 쓰는 것도 좋아하는 자본주의 찬양자였다. 그런 내가 남편을 사랑하게 되며 군 가족이 된지 어연 3년 차. 군인 가족이 되면 배우자는 자연스럽게 경력 단절에 놓이게 된다. 그도 그럴 것이 남편의 근무지가 수도권이 아닌데다가, 아이를 봐줄 시댁과 친정도 멀고, 이동이 잦은 군인의 특성 탓에 정규직 일자리를 구하기가 참 힘들기 때문이다. 늘 인생은 다채롭게 살아야한다고 외치며 자본주의를 찬양하던 나는 군인가족의 삶이 퍽 버거웠었다. 하지만 결국 이 또한 내가 선택한 삶 아니겠는가. 남편을 사랑하기에 이 또한 내가 살아가는 운명이라고 생각하려고 .. 2023. 1. 24.
반응형